
한국영화 산업의 중심은 오랫동안 서울에 위치해 있었지만, 부산 역시 독립적인 영화생태계를 형성하며 양대 축으로 성장해왔습니다. 서울은 자본과 인프라의 중심으로서 영화 제작과 투자가 집중된 반면, 부산은 국제영화제와 촬영 인프라를 기반으로 창작의 공간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촬영지 특징, 영화제의 성격, 지자체 지원정책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서울과 부산의 영화산업 구조를 비교 분석해 봅니다.1. 촬영지로서의 서울과 부산 – 도시의 표정이 영화가 된다서울은 한국 영화 촬영의 절대적인 중심지입니다. 도심 속 고층빌딩,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공간, 야경, 다리, 지하철 등 다양한 로케이션을 바탕으로 스릴러, 멜로, 정치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에 어울리는 촬영지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서울시 영상위원..

한국과 일본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적으로도 많은 유사성을 공유하지만, 영화산업의 발전 과정과 구조, 시장 환경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두 나라는 각각의 방식으로 고유한 영화 문화를 형성해 왔고, 현재는 글로벌 시장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영화산업을 제도, 역사, 수익 구조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비교하며, 그 차이와 공통점, 그리고 미래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1. 영화산업 제도: 한국은 민관협력, 일본은 스튜디오 중심한국의 영화산업은 비교적 민관협력 구조가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영상물등급위원회, 영화진흥위원회(KOFIC), 한국콘텐츠진흥원 등이 정부 주도의 지원 제도를 운영하며, 제작·배급·홍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단계에서 지원이 이뤄집니다. 특히 독립..

전주국제영화제와 부산국제영화제는 한국을 대표하는 두 영화제로, 각각의 정체성과 목표를 바탕으로 지역과 세계를 연결하는 중요한 플랫폼 역할을 해왔습니다. 전주는 예술성과 실험성, 부산은 산업성과 국제성에 기반해 서로 다른 접근을 해왔지만, 모두가 지역문화 진흥, 국제 영화 교류, 관객 중심 참여 문화 확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전주와 부산 영화제가 한국 영화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세 가지 핵심 키워드를 통해 비교·분석합니다.1. 지역문화 확산의 중심 – 도시와 영화의 공존전주국제영화제(JIFF)는 도시 전체가 예술영화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대표적인 로컬 문화예술형 영화제입니다.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는 전주 한옥마을, 경기전, 영화의 거리 등을 중심으로 영화제 상영관과 야외 이벤트가 운..

충무로는 한국영화의 심장으로 불리던 곳입니다. 1960~80년대 영화 전성기에는 수많은 영화사가 밀집해 영화의 출발점이 되었고, 지금도 한국영화의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공간으로 회자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디지털 제작환경의 변화, 촬영지 분산, 산업 구조의 전환 속에서 충무로는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중앙시장과 촬영지의 기억, 영화제작소 중심 산업 구조, 그리고 최근 충무로의 트렌드 변화를 통해 충무로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해 보겠습니다.1. 중앙시장과 거리 풍경 – 충무로의 과거 기억충무로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공간 중 하나가 바로 중앙시장입니다. 이곳은 영화 소품, 의상, 세트 제작 관련 상점들이 밀집해 있던 공간으로, 과거에는 하루에도 수십 편의 영화 촬영팀이..